The opposite of a fact is falsehood, but the opposite of one profound truth may very well be another profound truth. _Niels Bohr
사실의 반대는 거짓이지만, 하나의 심오한 진실의 반대는 또 다른 심오한 진실일 수도 있습니다.
1. 주요 단어(Vocabulary)
opposite
뜻: 반대(되는 것), 정반대
예) “The opposite of love is not hate, but indifference.” (사랑의 반대는 증오가 아니라 무관심이다.)
fact
뜻: 사실, 실제로 존재하는 진실
예) “We must base our argument on verified facts.” (우리는 검증된 사실에 근거해 주장을 펼쳐야 한다.)
falsehood
뜻: 거짓, 허위
예) “Spreading falsehoods can harm others.” (거짓을 퍼뜨리는 것은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
profound
뜻: (지식·사상 등이) 심오한, 깊은
예) “He made a profound observation about human nature.” (그는 인간 본성에 대해 심오한 통찰을 내놓았다.)
truth
뜻: 진리, 진실
예) “We should pursue the truth even if it’s uncomfortable.” (불편하더라도 우리는 진리를 추구해야 한다.)
may very well be
뜻: (아주 높은 가능성으로) ~일 수도 있다, ~일 가능성이 크다
예) “She may very well be the best candidate for the job.” (그녀가 그 일에 가장 적합한 후보일 가능성이 높다.)
2. 핵심 문법(Grammar & Structure)
The opposite of A is B
첫 번째 문장: “The opposite of a fact is falsehood”
직역: “사실의 반대는 거짓이다.”
‘opposite of + 명사 + is + 명사’ 형태로, A의 반대말은 B라고 명시.
but (접속사)
두 번째 문장과 연결되어 대조(contrast)를 이룬다.
“but the opposite of one profound truth may very well be another profound truth.”
앞의 사실(fact)-거짓(falsehood) 구도를 뒤집어, 더 깊은 차원(profundity)에서는 ‘반대가 곧 또 다른 진리일 수 있다’고 말한다.
may very well be
조동사 may + 부사 very well + 동사 be
**“~일 가능성이 아주 크다, 충분히 ~라고 볼 수 있다”**라는 의미를 가진 표현.
might well be, could very well be 등으로도 자주 변형된다.
따라서, “the opposite of one profound truth may very well be another profound truth”는 “하나의 심오한 진리의 반대가 충분히 또 다른 심오한 진리일 수 있다” 정도로 해석 가능.
병렬 구조
첫 번째 문장: “The opposite of a fact is falsehood”
두 번째 문장: “(but) the opposite of one profound truth may very well be another profound truth.”
**“the opposite of A is B”**와 **“the opposite of X may (very well) be Y”**로 문장 구조가 유사하게 병렬을 이루고 있다.
“A is B” (단정/직설)와 “X may be Y” (가능성/추측) 부분을 대조적으로 배치하여, 사실/거짓과 심오한 진리/또 다른 진리를 대비시키고 있다.
3. 정리(Summary)
원문 해석
직역: “사실의 반대는 거짓이지만, 하나의 심오한 진리의 반대는 또 다른 심오한 진리일 수도 있다.”
의역: “단순한 ‘사실’의 반대는 명백히 ‘거짓’이지만, 깊은 의미를 담은 진리는 서로 상반되는 것처럼 보여도 둘 다 진리가 될 수 있다.”
핵심 포인트
**사실(fact)**과 거짓(falsehood) 간의 단순 반대 구조를 먼저 제시.
심오한 진리(profound truth) 영역에서는 논리가 이분법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강조.
may very well be 구문을 통해, 하나의 진리에 대한 ‘반대 의견’이 오히려 또 다른 깊은 진리가 될 수 있음을 시사.
닐스 보어의 이 말은 과학적·철학적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실과 거짓’을 가르는 영역에서는 명확한 정답이 있지만, 더욱 복합적이고 심오한 문제(예: 양자 물리학, 인간 본성, 우주론 등)에서 서로 반대되는 관점이 **동시에 ‘진리’**일 수도 있다는 역설적 진실을 표현한 명언으로 해석됩니다.